통영경찰서 북신지구대 순찰팀장 최경수
보이스피싱 피해 사례를 접할 때, 대부분의 사람들이 보이는 반응은 ‘그런 걸 왜 당하지?’ 일 것이다. 하지만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범죄도 발전하고 있는 오늘날, 보이스피싱 또한 계속하여 수법이 진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누가 보이스피싱 피해자가 되어도 이상하지 않은 상황이 되었다.
보이스피싱은 범행 대상의 약점과 심리를 이용한 지능형 범죄이다.
전화로 속여 돈을 계좌로 이체받는 전통적인 수법은 오랜 시간에 걸친 대국민 홍보와 지연인출제도 등의 정책으로 그 범죄 성공률이 현저히 낮아졌다.
최근에는 '정부지원 서민대출'로 이자가 싼 대출로 갈아타게 해주겠다는 '대환대출' 사칭, 고액결제 문자메세지로 유도하는 수법, 택배 배송 위장 피싱 문자, 카카오톡 청첩장 및 상품권 피싱 등 종류도 다양해지고 수법도 날로 진화하고 있다.
이처럼 나날이 진화하고 있는 보이스피싱 범죄를 예방하기 위하여 우선 불분명한 링크는 함부로 클릭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범죄에 연루되었다며 자금 이체 또는 현금 전달 요구 시 응하지 말아야 하며, 문자 등으로 보내는 경찰, 검찰, 금감원의 공문은 모두 가짜임을 명심하여야겠다.
또한 수사기관 또는 금융기관의 앱 설치 요구는 무조건 무시하고, 출처 불명의 인터넷주소(URL)는 누르지 말고 의심부터 해야 하며, 저금리 대출을 위해 기존 대출금 상환 요구 시 무시해야 하고, 가족의 부상·납치 전화 시 반드시 112 신고 등 주변에 도움부터 요청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사항만 조심한다면, 보이스피싱 예방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