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시(시장 천영기)는 2일 통영시립박물관 기획전시실에서 「통영 안정사, 유물로 보는 공간과 의례 문화」 특별전 개막식을 개최했다.
개막식에는 허대양 통영시 부시장, 배도수 통영시의회 의장, 강성중 경상남도의원, 신철기 통영시의회 부의장, 김희자 운영위원장, 김미옥 의원 등 통영시의원과 더불어 대한불교법화종 현묵 총무부원장, 혜문 경주교구원장, 안정사 주지 원담스님, 통영시사암연합회 보현사 주지 묵원 회장, 연화사 주지 도법 부회장, 한마음선원 통영지원 혜연 주지스님 등 불교계 인사 및 지역 내·외 귀빈이 참석해 자리를 빛냈다.
통영 안정사는 신라시대 원효대사가 창건한 것으로 전해지며, 조선 후기에는 통제영 소속 승병 사찰로 기능했다. 이는 단순한 신앙의 공간을 넘어 군사적 위기 상황에서 승려들이 병역 의무를 수행하며 지역 방어에 참여한 역사를 보여준다. 또한 불교 의례 전승의 중심지로서, 20세기 초에는 경전과 기도문을 목판으로 간행해 출판·교육의 기능까지 수행했다.
이번 특별전은 안정사의 천년 역사를 조명하고, 우리 문화유산의 가치를 알리기 위해 기획됐다. 전시는 △1부 ‘안정사, 시간 속에 깃든 불심’ △2부 ‘불상, 성물 그리고 성스러운 공간’ △3부 ‘의식으로 피어난 미술’로 구성됐다.
1부에서는 안정사지와 현판, 경상남도 유형문화재인 금송패 등이 전시된다. 금송패는 안정사가 조선 왕실로부터 하사받아 산림 보호 및 봉산 관리권을 부여받았음을 보여준다. 또한 현판을 통해 삼도수군통제영과 지역 유력자들이 불사에 시주자로 참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부에서는 고려시대 제작된 혜위등광불과 복장유물이 함께 전시되며, 특히 ‘삼세불도’가 처음으로 대중에게 공개된다. 삼세불도는 영조 28년(1752년)경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며, 2001년 도난당했다가 2016년 안정사로 환수된 귀중한 문화재다. 고려 불상과 복장 유물(腹藏遺物)이 일괄 전시되는 사례는 매우 드물다.
3부에서는 의례에 사용된 동종과 향로 등 다채로운 유물이 소개된다. 특히 안정사 동종(보물)은 선조 13년(1580년) 전라도 담양 추월산 용천사에서 제작된 것으로, 제작 시기와 장소가 명문으로 새겨져 있다. 임진왜란 당시 안정사로 옮겨져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통영시립박물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통영의 불교문화와 안정사의 역사적 가치를 시민들이 폭넓게 이해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전했다.
이번 특별전은 2026년 3월 29일까지 이어지며, 매주 월요일은 휴관한다.
Copyrights ⓒ 충무신문 & www.cmnews.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